본문 바로가기
  • 노션에서 삽질한 내용을 정리하는 블로그

자기발전소140

[WebLogic] Cluster 클러스터 1. What is a WebLogic Server Cluster ? 확장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웹로직 서버 인스턴스(동시 실행중인)들로 이루어져있다.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클러스터가 단일한 웹로직 서버 인스턴스로 보인다. 한 클러스터의 멤버인 서버 인스턴스들은 모두동일한 머신 위에 올라갈 수도 있고, 각각 다른 시스템 위에 올라갈 수도 있다. 서버나 머신(시스템)을 추가함으로써 클러스터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각 서버 인스턴스는 동일한 버전의 웹로직 서버이어야 한다. 2. Dynamic Cluster ? 동적인 클러스터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자원에 맞춰 동적으로 스케일업이 가능하다. 생성될 서버 인스턴스들의 설정을 정의해 놓은 단일의 서버 템플리트를 사용한다. 동.. 2021. 1. 19.
[Weblogic] Domain Directory Contents 본 게시글은 오라클 공식문서를 직역하며 공부하는 글입니다 : ) 도메인을 생성하기 전, 기 생성되어있는 도메인 디렉토리 예시를 다음 경로에서 확인할 수 있다: $ORACLE_HOME/user_projects/domains/wl_server ($ORACLE_HOME : 웹로직 서버 설치시 사용자가 지정한 디렉토리) 오라클 웹로직 서버는 기본적으로 오라클미들웨어 아래에 도메인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ORACLE_HOME/user_projects/domains domain-name : 말그대로 도메인명이다. autodeploy : 개발모드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 배포를 할 수 있는 빠른 방법을 제공한다. 이 디렉토리 안에 어플리케이션이나 모듈을 넣어두면, 개발 모드로 돌아가는 서버 인스턴스는 자동으로 이를 배포.. 2021. 1. 19.
[Weblogic] Domain의 config.xml 본 게시글을 Oracle Docs를 직역하며 공부하는 글입니다 :) 1. Domain Configuration Files 각 도메인은 해당 구성을 XML 형태의 문서에 명시하며, 이러한 명세 파일은 그 도메인의 config 디렉토리에 위치한다. ($DOMAIN_HOME/config/config.xml) 1) config .xml (1) 도메인 디렉토리 a) 읽기, 쓰기 권한을 모두 가져야 함 - 도메인이 생성된 후 아무 변경사항이 없더라도 권한 필요: 도메인이 적절히 기능하기 위해 - 웹로직 서버가 내부적인 배포(배치)를 수행하고, 서버가 재실행될 때 설정파일은 수정되기(rewrite) 때문에 해당 권한이 필요 b) 비-설정파일(non-configuration file: 설정과 관련없는 파일) 은 해당 .. 2021. 1. 18.
WebLogic 14 서버 실행 - 기본 스크립트 보완 WebLogic 14 서버 실행 기본 스크립트 보완 (CentOS 7) 1. boot.properties를 통해 서버 기동 과정을 조금 더 편하게 기본스크립트로 기동할 때 서버 기동할 때마다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서버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를 따로 파일로 생성하여 해당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 파일의 디폴트 위치: $[server_name]/security/boot.properties - 서버 디렉토리 하에 security 디렉토리를 새로 생성하고, 그 안에 boot.properties 파일을 생성한다. - 파일의 내용: username 과 password 내용을 기입한다. $ mkdir $SERVER_HOME/security $ vi $SERVER_HOME/se.. 2021. 1. 8.
WebLogic 14 서버 실행 #1 (CentOS 7) WebLogic 14.1.1.0.0 서버 생성 및 실행 : 기본 스크립트 활용 #1 💡 웹로직 기동/실행 방법: - 스크립트 실행 - 노드 매니저 - 윈도우의 경우, 서비스 등록의 방법이 있다. ↦ 위 방법 모두 근본적으로 weblogic.Server라는 클래스를 실행하여 서버를 실행하는 원리 따라서, 맥락이나 요구조건에 따라 알맞은 실행 방법 선택 필요 기본 스크립트로 서버 시작. :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웹로직 에러의 원인이 기동방법에 있는지, 도메인에 있는지 판단 가능 1. 기본 스크립트로 Admin Server 시작 = $DOMIAIN_HOME/startWebLogic.sh 실행 2. 기본스크립트로 Managed Server 시작 = 먼저, 웹콘솔에서 "잠금 및 편집"을 눌러 버튼을 활성화한 다음,.. 2021. 1. 7.
WebLogic 14 설치 (CentOS 7) WebLogic 14.1.1.0.0 설치 0. 설치 전 구성 > VM ware : CentOS 7 가상 머신 생성 > 윈도우: JDK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 윈도우: WebLogic 호환성 확인하여 알맞은 버전 설치 > 윈도우에서 설치 파일들을 가상 머신으로 # scp 명령어로 수신 > tar 파일은 # tar xzvf , zip 파일은 # unzip 으로 압축 풀어 설치 준비 1. 웹로직 설치 (Silent 모드) 🩸 java -jar 를 통해 웹로직 jar 파일을 실행하려고 하면, root 계정으로는 실행 불가 > 웹로직 설치 및 운영에 사용할 새 계정 생성: # usermod -aG wheel wasmgmt 로 wheel그룹에 추가하는 과정도 필요 > jar 파일에 대한 권한 및 소유자 속성 변.. 2021. 1. 7.
Windows Subsystem for Linux(Windows 10) 설치 기록 WSL 1 수동 설치 기록 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win10 Windows 10에 WSL(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설치 Bash 터미널을 사용하여 Linux 배포(Ubuntu, Debian, SUSE, Kali, Fedora, Pengwin 및 Alpine 포함)를 Windows 10 머신에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docs.microsoft.com 1.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한 cmd창에 다음 명령어 실행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wsl 1은 이 단계에서 끝! (wsl 2로 업데이트.. 2021. 1. 5.
리눅스 아카이빙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백업하는 데 사용되는 아카이브 아카이빙과 압축 압축 Compression : 파일이나 아카이브가 디스크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주는 소프트웨어 도구 (알고리즘을 통해) 아카이빙 Archiving : 단일 파일에 파일과 디렉터리들을 넣어 묶기 > 네트워크를 통해 큰 아카이브 파일을 전달할 계획이라면 압축하는 편이 더욱 좋음 아카이빙에 고려할 사항 이미지 데이터 백업 파티션을 알아야 한다. 즉, 해당 파티션을 백업하기 위해 이 파티션의 용량이 어느정도인지 어디에 위치하는지 파악이 필요 *tmpfs : 임시파일시스템으로 백업할 필요가 없음 *dev : 시스템엔 연결된 모든 장치가 표시되는 파일 형태 + /usr또는 /var 파티션 boot 파티션 실습 : tar 테스트용 디렉토리와 파일을 .. 2021. 1. 3.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일반적인 시스템 관리와 문제 해결의 효율적인 처리에 도움이 되는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에 대한 이해! 참고 도서 : 모던 리눅스 관리 먼저 용어 정리, 소프트웨어 : 사람을 대신하여 컴퓨터 하ㅇ드웨어를 제어하는 명령을 담은 프로그램 코드 프로세스 : 실행 주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OS : 컴퓨터 하드웨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인스턴스들을(프로세스) 관리하는 도구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일종의 교통 경찰이 바로 systemctl 일반적으로 ps 명령만 실행하면, 1. 현재 shell session에서 사용하는 bash 명령 인터프리터 프로세스 2. 가장 최근에 실행한 ps 명령의 프로세스 * bash의 PID가 1493이라는 건, 이미 이 전에 열심히 돌고 있는 프로세스가 아주 많음을 .. 2021.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