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3 스위치
스위치와 라우터가 합쳐진 장비라고 간단히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라우터보다 제공하는 기능은 더 적다
Distribution 계층에 사용되는 스위치로, 해당 계층에서는 보안 기능이 필요없기 때문이다.
L3스위치가 나오게 된 경위(?)를 살펴보면,
보안적인 문제를 위해 스위치를 여러 대 두다가
비용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LAN을 도입했다.
VLAN개수만큼 링크를 만든 필요롤 Trunk 모드를 통해 해결하였고
라우터와 스위치를 하나의 장치로 합쳐서 비용을 최대로 낮춘 방법으로 나온 것이
L3 스위치이다.
L3스위치는 기본적으로 모든 포트가 스위치 포트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라우터의 포트로 선언할 때에는
#no switchport
vlan tag가 달린 패킷을 받을 라우터의 가상 인터페이스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interface vlan 10
L3스위치는 기본적으로 스위치로 동작하기 때문에
라우팅 기능을 켜주어야 라우팅 프로토콜 설정 가능
#ip routing
L3스위치는 기본 스위치와 다르게 dot1q와 isl 방식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trunk mode 선언 전에, 표준의 방식을 선언하는 것이 필요
(표준: dot1q, 비표준(시스코): isl)
#sw trunk encap dot1q
'자기발전소 >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구성에 대하여 (0) | 2020.12.19 |
---|---|
L3 스위치를 활용한 통합 LAN 환경 구성 (0) | 2020.12.06 |
네트워크의 가상화: VLAN, EC, FHRP 등 (0) | 2020.12.06 |
종합 실습 (0) | 2020.11.29 |
네트워크 장비의 이중화 및 문제 해결: STP & EC & PVST & FHRP (0) | 2020.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