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클라우드 마켓 점유율
> 모든 기업들이 하나의 퍼블릭 클라우드 벤더사만 사용할까?
기업들의 클라우드 사용 전략
> 클라우드를 여러 개 섞어 사용하는 Multi-Cloud 방식의 클라우드 이용행태가 약 84%
그 중, (클라우드는 장기적으로 비용이 크기 때문에) 온프레미스+퍼블릭 같이 사용하는
Hybrid 방식의 클라우드 효율적임을 알 수 있는 통계이다.
*클라우드 비용이 많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하는 이유는?
- 글로벌 서비스, 트래픽이 증가할 때 대응 편이
- 몇 분만에 전세계 배포
- 자본 비용을 가변 비용으로 대체 가능
- 데이터 센터 운영 및 유지 관리 비용 투자 불필요 및 용량 추정 불필요
- 빠른 프로비저닝이 가능
+ 단점: EC2, EBS 등 시간에 따른 비용 추정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Hybrid 클라우드 지원 형태
> VMWare on AWS, VMWare on GCP (NCP): VMWare (Private Cloud) 와 Public Cloud 간 연동 지원
> MS Azure Stack : 온-프레미스와 Azure 간 연동 지원
> AWS out-post : 온 프레미스 서버 등의 환경을 AWS처럼 구성해 줌
AWS History (2006~ )
> SQS라는 큐잉 서비스가 첫 출시
> EC2,S3 서비스는 우선 미국 리전에서만
> 최초 아시아 리전: 2010년 싱가폴에서 시작
> 2016 AWS Seoul 리전 시작!
'자기발전소 >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개인정보보호 및 활용 (0) | 2020.12.31 |
---|---|
Microsoft Azure 를 통한 비즈니스 혁신 사례 (0) | 2020.12.30 |